-
[코드스테이츠 PMB 6기] W8L1_애자일과 워터폴코드스테이츠 2021. 6. 17. 00:54
애자일과 워터폴
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기본적이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.
바로 애자일과 워터폴 방법이다.

애자일(Agile)
애자일은 '스프린트'(sprint)라는 짧고 점진적인 개발 주기로 구성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이다. 각 주기는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. 애자일 방법론은 애자일 선언(Agile Manifesto)의 4가지 기본 가치와 12가지 원칙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, 반복적이며 사람 중심적인 개발 방식을 취한다.

애자일 모델 / 코드스테이츠 강의자료 - 계획: 고객과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프로젝트 개념화, 브레인스토밍, 정의, 우선순위설정, 필요 자원, 예산 책정을 논의한다. 그다음 승인 및 실행하는 작업이 이뤄진다.
- 설계: 사용자경험 전문가가 스크럼 마스터, 클라이언트, 제품팀 그리고 기타 주요 이해관계자와 협력해 제품의 모양새와 여타 요소들을 결정한다.
- 개발: 개발팀은 이 단계에서 ‘스프린트’라고 불리는 여러 반복 작업을 거치며 고객 요구사항에 맞는 제품을 개발한다.
- 테스팅: 테스팅 단계에서는 제품이 고객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. 만약 결함이 발견되면 해당 제품을 개발 단계로 보내 결함을 수정하고 다시 테스트한다. 이 단계는 제품이 고객 요구사항이나 목표를 충족할 때까지 지속된다.
- 배포: 모든 단계가 완료되면 최종 제품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.
- 피드백: 팀이 전체 개발 프로세스를 회고하며 제품이나 팀의 성과를 개선하는 방법을 검토한다.
워터폴(Waterfall)
프로젝트 시작부터 최종 결과물 전달까지 특정 순서에 따라 이뤄진다. 워터폴 기반 프로젝트 팀은 프로세스나 주기를 동일하고 정확한 순서로 실행 및 완료한다.

워터폴 모델 / 코드스테이츠 강의자료 - 요구사항 수집과 분석: 프로젝트에 사용될 기능적, 시스템적 또는 기술적 사양 정보를 클라이언트와 주요 이해관계자로부터 수집한다.
- 설계: 사용자경험 전문가는 고객, 제품팀 및 기타 주요 이해관계자와 함께 제품의 모양새와 여타 요소들을 결정한다.
- 테스팅: 성능, 시스템 및 사용자 승인 테스팅을 수행하여 제품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. 만약 결함이나 버그가 발견되면 제품이 전달되기 전에 해결된다.
- 프로젝트 최종 결과물 전달: 프로젝트를 착수할 때 확정했던 사양을 제품이 충족하면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.
- 유지보수: 클라이언트는 제품을 전달받은 후 추가적인 스코프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. 프로젝트 비용과 시간은 추가될 수 있다.
애자일과 워터폴의 장단점

출처
https://hygger.io/guides/agile/agile-vs-waterfall/
https://bbmsk2.tistory.com/185
'코드스테이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코드스테이츠 PMB 6기] W8L2_PO와 애자일 프로세스 (0) 2021.06.21 [코드스테이츠 PMB 6기] W8L1_카톡 멀티 프로필UI설계서 작성(Case Study) (0) 2021.06.16 [코드스테이츠 PMB 6기] W7L2_API로 서비스 기획 (0) 2021.06.14 [코드스테이츠 PMB 6기] W7L1_모든 명품의 가격을 찾아내는트렌비(trenbe) (0) 2021.06.10 [코드스테이츠 PMB 6기] W7L1_애플리케이션 종류와 구분 (0) 2021.06.09